영어-속담

영어 속담: 돈과 관련한 20가지 필수 영어 관용구/속담

뉴욕에서 택시를 탔는데 택시 기사가 당신에게 “cough up $20 (20달러를 토해내)” 라고 말했습니다.

이때 당신은 어떻게 반응하시겠어요?

당신의 입에서 20달러가 나올 때 까지 계속 토해내실 건가요, 아님 그냥 지갑에서 20달러 짜리 지폐를 꺼내 그에게 지불 할건가요?

아마도 당신은 지갑에서 돈을 꺼내 그에게 건네줄 것 입니다. 택시 기사가 정말로 당신이 기침하길 바란 건 아니었을 겁니다. 그는 그저 “돈을 내라”는 뜻아주 흔한 영어 관용구를 썼을 뿐입니다.

관용구 및 속담(idiom)이란 참 오묘해서 단번에 이해하는 것이 쉽지 만은 않습니다. 속뜻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면 당신을 더욱 답답하게 만들죠(drive you up the wall).

영어 원어민들은 대화 속에 돈과 관련한 관용구를 흔히 넣습니다. 실제로 돈 얘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도 무엇을 설명할 때 돈에 빗대어 설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데요, 실생활에서 활용할 데가 많아 아주 유용하고 값진(worth their weight in gold), 돈과 관련된 20가지 영어 속담이 궁금하시면 이 글을 계속해서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영어 관용구 및 속담을 쉽게 배우는 방법

관용구는 영어 회화를 더욱 재미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회화 스킬을 향상시키고 영어의 다채로운 면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합니다.

관용구를 있는 그대로 해석하려고 하면 오히려 더 혼란스러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속담이나 관용구는 사실을 표면적으로는 말이 안되기 때문이에요. 하고 싶은 말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관용구를 쓴다고는 하나, 사실 이 관용구가 쓰이는 특정 문맥 (단어, 문장, 그 의미를 뒷받침 해주는 문맥) 을 벗어나면 그 관용구는 전혀 말이 안되는 표현이 됩니다.

예를 들어 봅시다. 당신이 뒤로 공중제비를 돌 수 있다고 말하기에 제가 “put your money where your mouth is“라고 대답했습니다. 영어로는 “널 못믿겠어. 증명해.” 라는 뜻의 관용구 입니다. 실제로 돈을 입에 넣으라고 하는 건 전혀 말이 안되지만, 이 문맥 안이라면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관용구와 속담을 배우는 요령은 그 구문의 의미에 대해 너무 깊이 생각하지 말라는 것 입니다. 속담이 왜 그런 의미인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게 아닙니다. 그냥 이 속담이 쓰이는 상황에서 문맥과 의미를 이해해야 합니다.

점점 이런 관용구들이 귀에 들리기 시작함에 따라 자주 활용하게 되면 당신도 더이상 이 관용구들이 이상하거나 어색하게 느껴지지 않을 것 입니다. 속담을 마스터하는 가장 유용한 방법은 대중 문화를 통해 영어를 배우는 것 입니다.

관용구는 일상 영어와 음악에서 자주 쓰이는데요, 그런 의미에서 FluentU의 온라인 영어 학습 프로그램이 영어 관용구를 배우기 좋은 최적의 장소와 수단이 된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FluentU는 뮤직 비디오나 영화 예고편, 뉴스, 강연 등 이미 시중에 나온 영상을 여러분 만을 위한 맞춤 영어 레슨 비디오로 만들어 줍니다FluentU 모바일 앱을 다운로드하면 여러 학습 기능이 탑재된 영어 영상을 어디든지 휴대하고 다닐 수 있으니 FluentU에서 제공되는 아무 영상에 한번 자막을 깔고 재생해보세요. 그리고 그 안에서 어떤 영어 관용구와 속담을 쓰는지 확인하는 겁니다. 몇 가지의 속담이 들리던가요?

여기 영어 속담, 관용구, 숙어를 배울 수 있는 다른 프로그램들도 있으니 여러분도 활용해보세요:

당신을 똑똑한 부자로 만들어 주는 돈 관련 영어 속담 20가지

오늘 저는 여러분께 영어로 대화를 나눌 때 거의 매일 사용될 정도로 흔한 돈 관련 속담/관용구 20가지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이 문구를 적재적소에 사용하는 방법을 배움으로써 영어를 더욱 유창하게 말하고, 또 영어 말하기 문화에 대해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길 바랍니다.

1. To be born with a silver spoon in one’s mouth

의미: 금수저로 태어난 사람, 부자집 혹은 성공한 가문 출신 사람.

John was born with a silver spoon in his mouth. His parents bought him everything he wanted and sent him to the best private schools.”
(존은 금수저야. 걔네 부모님은 걔가 원하는 건 다 사주시고 최고의 사립 학교도 보내주셨대.)

2. To go from rags to riches

의미: 가난했던 사람이 부자가 되다, 인생역전하다.

“Actor Jim Carrey went from rags to riches. At one time, he was living in a van, but he continued to work hard and eventually became one of the highest-paid comedians in the world.”
(짐 캐리는 인생역전한 케이스야. 한 때는 그도 집 없이 차 안에서 살았을 정도로 가난했지만 열심히 일한 끝에 전세계에서 가장 몸값이 높은 코미디언이 되었지.)

3. Pay an arm and a leg for something

의미: 무언가를 가지기 위해 어마어마한 액수를 돈을 지불하다.

“The price of chocolate has doubled. I nearly paid an arm and a leg for a small candy bar.”
(초콜릿 값이 두배나 올랐어. 그 작은 캔디 바 하나 사기위해 터무니 없이 큰 돈을 지불 해야 되.”

유사 관용구: To cost an arm and a leg.

Chocolate costs an arm and a leg now.”
(초콜릿이 지금 말도 안되게 비싸.)

4. To have sticky fingers

의미: 도벽이 있다. 도둑질을 하다.

“The manager fired the cashier because he had sticky fingers. He stole more than $200 in a month.”
(가게 계산대 직원이 도벽이 있어서 매니저가 그를 해고했다. 그는 한달에 200달러를 넘게 훔쳤다고 한다.)

5. To give a run for one’s money

의미: 자기와 실력이 비슷한 사람과 겨루다, 접전을 벌이다

“Joe really gave me a run for my money in the chess tournament. He almost beat me!”
(조는 체스 토너먼트에서 나와 접전을 벌였어. 나를 거의 이길 뻔 했다니까.)

6. To pony up

의미: 돈을 내다, 또는 빚을 청산하다.

Pony up and give me the $5 you owe me.”
(저번에 나한테 빌려갔던 5달러 내고 빚 청산해.)

“I told my roommate Jane to pony up her portion of the rent money.”
(룸메이트인 제인에게 월세 중 그녀의 몫을 내라고 말했다.)

7. To ante up

의미: 누군가에게 돈을 내다 (“pony up”과 유의어)

ante up 이라는 표현은 포커 게임에서 유래한 말인데, 카드가 분배되기 전에 카드 플레이어들이 내기에 거는 돈을 ante 라고 불렀습니다. 이 ante 라는 말은 사실 “before”라는 뜻의 라틴어에서 기원한 거라 조금 익숙한 분들도 계실 겁니다.

시간이 흘러 이 숙어는 꼭 포커에서 뿐만이 아니라 누군가에게 빚진 돈을 청산하는 모든 경우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You’d better ante up and give me that $10 I loaned you last week.”
(지난 주에 내가 빌려준 10달러 빨리 갚는게 좋을거야.)

돈 외의 것에 빚을 졌을 때도 쓰일 수 있습니다.

Joe: “I’m tired of doing the housework by myself. You need to ante up or find a new roommate.”
(조: 나 혼자 집안 일 하는 것도 이제 더이상 못하겠어. 내가 한 만큼 너도 하든지, 새 룸메를 찾든지 해.)

Thomas: “I’m sorry. I’ll help more around the house.”
(토마스: 미안해, 나도 집안일 더 거들게.)

이 문장에서 조는 토마스가 집안일을 더 많이 도와야 된다는 의미로 ante up을 사용했습니다.

유사 관용구: To up the ante.

의미: 판돈을 올리다 / 경쟁의 판을 가열시키다

포커에서 사람들이 up the ante 라고 하면 자기 이전의 사람보다 더 많은 돈을 내기에 거는 것을 의미합니다. 누군가가 판돈을 높이거나 그렇게 하도록 동의하는 경우, 일상 대화에서도 비슷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Susan agreed to type up the group report, but Billy upped the ante when he said he’d type, print and deliver the report to Professor Stephens.”
(수잔이 그룹 리포트를 작성하기로 했는데 이에 빌리가 본인이 작성하고, 인쇄하고 스티븐 교수님께 제출하겠다며 동조했다.)

“I wanted to place a $10 bet on the soccer match, but Daniel upped the ante and raised the bet to $50.”
(난 축구 게임에 10달러만 걸고 싶었지만, 다니엘이 50달러로 판돈을 더 올렸다.)

8. To look like a million bucks

의미: 기분 좋아보이거나 건강해 보인다.

John looked like a million bucks when he left the hospital. You couldn’t even tell he was sick.”
(존은 병원을 떠날 때아주 좋아보였다. 그가 아팠었다는 것이 믿기지가 않을 정도로.)

9. To break even

의미: 손해도 이익도 없다. 본전 찾다.

“The trip to the beach cost me $100, but I almost broke even after winning $90 in a contest.”
(해변가 놀러 가는데 100달러가 들었어. 하지만 콘테스트에서 90달러를 따고 나서 본전 뽑았지.)

10. To break the bank

의미: 매우 비싸다

“Taking a week-long vacation would break the bank. There’s no way I could afford to do it.”
(일주일 내내 휴가가기에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그럴 여유가 전혀 없다구.)

11. To be closefisted

의미: 돈을 쓰고 싶어하지 않는 사람. 구두쇠. stingy(인색한)과 유의어.

Carl is so closefisted, he won’t even buy snacks for the Christmas party.”
(칼은 짠돌이야. 크리스마스 파티할 때 스낵조차도 안 사올 애라구.)

12. To go Dutch

의미: 식당에서 식사 값을 각자가 부담하는 것.

“We had a date last night and we went Dutch. I paid for my coffee and she paid for her salad.”
(우리는 어제 데이트 할 때 더치페이를 했다. 내 커피는 내가 샀고, 여자친구의 샐러드도 여자친구 본인이 계산했다.)

13. To shell out money / to fork over money

의미: (주로 비싼 물건을) 사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거금을 쓰다.

“I wish I didn’t buy that new car now that I’m shelling out $1000 a month in payments.”
(새 차를 사지 말았어야 했어. 지금 한달에 1000달러라는 거금이 나가게 됐거든.)

She had to fork over a lot of money for traffic fines last month.”
(그녀는 지난 달에 교통 위반 벌금으로 어쩔 수 없이 거금을 써야만 했다.)

14. To have the Midas touch

의미: 돈을 손쉽게 버는 능력이 있다.

이 관용구는 만지는 것 마다 금으로 변했다는 이야기로 유명한 마이더스 왕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Jane really has the Midas touch. Every business she starts becomes very successful.”
(제인은 돈 버는 재주가 좋아. 그녀가 시작하는 모든 사업이 성공했거든.)

15. To be in the red

의미: 번 돈보다 잃은 돈이 더 많다, 적자가 나다.

I’m in the red this month after paying that speeding ticket. I’ll need to find some work over the weekend for extra money.”
(신호 위반 벌금낸 뒤로 이번 달은 적자야. 주말 알바를 뛰어서 나간 돈을 좀 메꿔야 겠어.)

being in the red의 반대어는 being in the black 입니다. 흑자가 났다는 뜻으로, 쓴 돈 보다 번 돈이 더 많음을 의미합니다.

“After working a couple of small jobs over the weekend, I earned an extra $500 and am back in the black.”
(주말 알바를 몇 개 더 뛰니까 추가로 500달러를 더 벌었어. 다시 흑자로 돌아왔지.)

16. To receive a kickback

의미: 불법으로 돈을 받다 / 뇌물을 받다.

“The police chief was arrested after the news reported he was receiving kickbacks from criminals to ignore certain crimes”
(경찰 서장이 범죄자들로부터 특정 범행을 눈감아 달라는 의미로 뇌물을 받았다는 뉴스가 뜬 뒤 그는 곧 체포되었다.)

The traffic cop receives kickbacks for not writing tickets to politicians.”
(교통 경찰은 정치인들에게 신호 위반 티켓을 끊지 말라는 의미에서 뒷 돈을 받는다.)

17. Living hand to mouth

의미: 적은 돈으로 힘겹게 살아가다, 하루하루 근근이 살아가다

“The family has been living hand to mouth ever since their father lost his job.”
(아버지가 실직하신 뒤 그 가족들은 하루하루 힘들게 살아가고 있어.)

18. To be loaded

의미: 돈이 차고 넘치다

“Billy paid his Harvard Law School tuition with cash. His family is loaded.”
(빌리는 하버드 로스쿨 등록금을 현금으로 냈어. 집안에 돈이 차고 넘치거든.)

19. To make ends meet

의미: 먹고 살기 위해 돈을 벌다.

“I don’t make much from my job as a cashier, but I’m able to make ends meet. I always have enough money for rent and groceries.”
(계산대 직원으로 큰 돈을 벌기 힘들지만 먹고 살 수는 있어요. 집세와 식비를 대는 데는 충분하죠.)

20. To be as genuine as a three-dollar bill

의미: 어떤 것이 가짜라는 것을 비꼬아서 표현하는 미국 속담

무언가가 genuine 하다는 것은 진품, 진짜라는 뜻입니다. 미국에서는 3달러 짜리 지폐를 만든 적이 없습니다. 즉, 어디에도 진품인 3달러 짜리 지폐는 없다는 뜻이죠.

예를 들어, 모나리자 진품은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에 있습니다. 만약 당신 학교의 미술실에 모나리자 액자가 걸려있다면 그건 진품이 아니라 모조품이라는 말인데요, 이때 당신의 학교의 모나리자 사본을 가리켜 genuine as a three-dollar bill 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That man tried to sell me a Lamborghini from 1953. He said it was the first Lamborghini model ever made but the company didn’t exist until ten years later. His car was as genuine as a three-dollar bill.”
(그 남자는 1953년도 산 람보르기니를 팔려고 했다. 그는 그 차가 람보르기니 최초의 모델이라고 말했지만 사실 람보르기니는 그 당시 존재하지도 않았을 뿐더러 그로부터 10년 뒤에나 설립된 회사였다. 그의 차는 가짜인 것이다.)

 

다음 번에 혹시 영어로 된 영화나 TV 쇼를 볼 때 당신이 들은 표현 중 이상하거나 재미있는 말이 있다면 노트해두고 무슨 뜻인지 찾아보세요. 아마 단번에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그것이 영어 속담이거나 관용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관용구에 더욱 익숙해질 수록 영어는 더욱 유창해 질 수 있을 것 입니다.

Enter your e-mail address to get your free PDF!

We hate SPAM and promise to keep your email address safe

Close